강연 기록

[SEF2023] DAY 1. LEARN 당신도 배울 수 있습니다 강연 정리

dev seon 2023. 9. 6. 14:27

경제학과 출신, 네이버 로봇 자율주행 개발자 되다

김건우 (네이버랩스 로봇 자율주행 개발자)

 

시작한 이유

컴퓨터에 흥미를 느껴 복수전공을 시작했음

주변 사람을 가르쳐주는 것에 흥미가 있었음
-> 내가 하는 일이 다른 사람들에게 효용을 주었으면 좋겠다

 

어려움

복수전공 1학기 때 수업이 괜찮아 공부하지 않고 2학기를 맞이함

자료구조, 어셈블리 등을 마주하며 어려워짐

친구의 조언으로 인해 다시 마음을 잡고 공부함

 

학습 팁

이해가 안되면 외운다

외운 게 이해가 되면 누구에게 발표한다 (장기기억)

 

경제학과가 도움이 된 점

수학 (미적분, 선형대수학, 통계 등)

 

로봇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네이버 랩스 대표님 유튜브 영상

RC카 만들기 프로젝트에 참여

자율주행 로봇에 관심을 가져 일 시작

 

로봇자율주행

localization - 현재 위치 파악

perception - 주변 공간 정보 파악

control - 매끄러운 주행

 

자주 사용하는 용어

자율주행로봇에 대해 공부하려면 수학과 영어를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함

논문을 읽고 알고리즘 이해를 위해 수학, 영어 필요

 

루키 프로젝트

네이버 1784 자율주행 로봇 100대가 임직원을 위해 서비스 제공

 

로봇 개발자가 되려면

새로운 분야의 문제를 푸는 걸 좋아하는 사람

개선방안을 끊임 없이 고민할 수 있는 사람

 

 


 

110만 명 유저 진저호텔을 만든 대학생 5인의 정체는?

진저호텔팀

개요

크리스마스 호텔 서비스 웰컴 투 진저호텔 

멋쟁이 사자처럼의 8개 대학이 모여 해커톤 주최함

11일 기간 동안 2022 연말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크리스마스 어드벤트 캘린더 활용 -> 온라인 어드벤트 캘린더

12월 1일부터 25일까지 하나씩 창문을 열어 편지를 읽어볼 수 있음

어드벤트캘린더+진저맨+호텔

 

회원가입->진저호텔 색상 결정, 이름 설정 -> 링크 공유해 편지 작성 가능 -> 편지 읽어볼 수 있음

오늘의 편지 열람 기준을 충족해야 창문을 열어볼 수 있음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기준 충족 못했어도 25일이 되면 다 열어볼 수 있음

진저맨 수집하여 내 진저맨에서 날짜별로 볼 수 있음

 

비하인드 스토리

진저호텔 링크 공유 -> 첫날 30만 명 가입 -> 60만 명 -> 일주일 후 100만 명 돌파

2022년 12월 2일에 크게 터짐

 

dm으로 추가 기능을 요구하여 기능 개발을 함

광고 제안이 들어왔지만 유저를 위한 서비스를 위해 비영리로 가기로 함

대부분의 광고는 거절하고 서버비 고민이 있어 기업 광고배너 달게 됨

 

Q&A

혼자서만 개발을 하기보다는 다른 사람과 협업을 하며 얻는 것이 많음

 


 

코딩과 전통문화가 만난다면?

코딩하는 선비 서재웅(제주 한국국제학교)

 

한국을 알리는 개발자가 되고 싶은 고등학생

한복을 좋아해서 한복을 입고 활동

개발자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퍼즐코딩부터 시작함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엔트리로 코딩을 시작함

 

코딩+전통문화

조선스페이스 :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사이트

혼자서 기획부터 코딩까지 스스로 함

좋아하는 것드르이 교집합을 만들고 싶었음

 


 

전직 영어 교사의 100만 명 코딩 학습 사이트 창업기

Quincy Larson(freeCodeCamp  창립자)

 

기부를 받아 코딩 학습 사이트 운영중(서버, 강사비 등)

처음에는 교사였으나 학교에서의 생활을 더 편하게 하기 위해

구글 검색을 통해 학교 일 자동화하는 방법 알아냄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여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이직함

다른 사람들에게도 기회를 주고 싶어 프리코드캠프를 만듦

 

공부 방법

자바스크립트와 파이썬이 가장 많이 활용됨

HTML CSS JavaScrip Git Linux Python SQL 7개의 언어 배우기

다 배울 경우 채용 공고에서 요구하는 업무의 80% 할 수 있음

기본 언어를 이해한다면 다른 것은 금세 배울 수 있음

가장 주요한 것은 가능한 한 많이 코딩을 연습하는 것

 

2023년 핵심 언어

현재도 자바스크립트가 가장 중요한 언어라고 생각함

다른 언어로 수행할 수 없는 것들을 할 수 있음

프로그래밍 범용 도구로 유용함

 

개발자가 되려면 공부해야 할 것

How to learn to code & Get a Developer Job 책 읽어보기

컴퓨터 과학과 프로그래밍, 수학(머신러닝, 데이터과학 분야 등)

1. 프로그래밍 실력 키우기

2. 개발자 기술 업계 사람들 만나보기

3. 개발자로서의 명성 쌓기 -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오픈소스 기여

 

미국에서의 프로그래밍 유망직종

60%는 풀스택 웹 개발자

한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풀스택 개발자가 되는 것 추천

 

chatGPT에 대한 생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서 유용함 -> 하루에 1시간 정도

사용 방법을 익히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직장 그만두고 개발자가 되는 것

코딩 능력 갖추기까지 9개월이 걸림

이전 일자리로부터 끌어올 수 있는 경험이 많이 있음

많은 시간을 들여 기술을 접할 것 (걸어다닐 때, 출퇴근, 집안일할 때 등)

팟캐스트 듣기 (freeCodeCamp 듣기)

유튜브 시청하기 (프로젝트, 다른 사람들이 하는 프로그래밍)

직접 프로그래밍하고 빌드하기

 


닫힌 기술을 여는 예술 : 기술 장벽 허물기

전유진(여성을 위한 기술랩 대표)

올해의 주제 '깃털처럼 가볍게' 

서울에 집중된 활동을 지역으로 확장함

기술은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 수평적인 기술 문화

 

기술이 모두에게 열려 있을까?

오픈 소스가 등장했으나 언어의 장벽과 기술 리터러시의 장벽이 있음

을지로에 여성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싶었음

여성 : 주류에서 배제된, 기술이 어렵게 느껴지는 사람들을 포괄

 

기술연구모임 <서킷 벤딩>

회로를 변형해서 다른 기능으로 개조하는 것

을지로의 강사분 초빙하여 전달받기도 함

필터링하는 클린봇 만들기 등

이슈가 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장

 

워크숍 <하트-빛>

심장 모양으로 만들어진 회로

아두이노를 이용해 칩에 업로드 해 각자의 맥박 측정

 

저항하는 기술 <The Resistance>

기본적인 기술 접하는 시간

도구의 이름과 사용법 등을 공부하고 직접 만지며 지식 체화

 

교육용 키트 제작

티벳에서 임시 학교를 열고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만듦

전도성 실을 이용해 바느질로 회로 구성

e-textile 키트 상품 제작